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28

설날 특선 설날과 관련한 문화재, 어떤 것이 있을까요? 세세한 문화재 이야기, 오늘은 설날과 대보름 기념으로 설날과 연관한 문화재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다들 설날 잘 보내셨는지요. 늦었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한 해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1. 설날과 관련된 문화재 - 국가지정문화재 씨름 첫번째로 얘기드릴 설날 문화재는 바로 "씨름"입니다. 씨름은 추석은 물론, 설날에도 특집 스포츠 중계로서 하고 있는 우리나라 민속놀이입니다.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맞잡고 힘과 기술을 이용해 상대를 넘어뜨리면 이기는 경기로서. 한민족 특유의 공동체 문화를 바탕으로 유구한 역사를 거쳐 현재까지 전승되어 온 민속놀이입니다. 밭다리부터 시작해서, 다리를 이용하거나 등배지기처럼 상체의 힘이나 상대의 기술을 카운터치는 등 넘어뜨리는 기술도 다양하죠. (실제로 유사한 기.. 2024. 2. 13.
국보와 보물 선정 절차 세세한 문화재 이야기, 오늘의 주제는 국보와 보물의 지정절차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국보와 보물은 우리나라의 문화재 중에서 상당히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문화재들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초등학교, 심지어 유치원 중에서도 국보와 보물을 언급하며 우리나라의 문화재를 보존해야 한다는 교육을 하고 있죠. 중요한 문화재인만큼, 지정 및 보존절차도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이 부분을 이번 블로그를 통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 목차 국보와 보물의 정의 국보의 지정절차 보물의 지정절차 ※ 국보와 보물의 정의 문화재보호법 제23조에 따라 국보와 보물이 어떠한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제23조(보물 및 국보의 지정) ① 문화재청장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을 보물로 지정할 수 있다. ② 문화.. 2024. 2. 10.
국가지정문화재와 시ㆍ도지정문화재의 정의 세세한 문화재 이야기, 오늘 해볼 문화재 이야기는 “국가지정문화재와 시ㆍ도지정문화재의 정의”입니다. ※ 목차 정의 국가지정문화재 시ㆍ도지정문화재 ※ 정의 문화재보호법 제2조 제3항에 의하면 “지정문화재”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지정문화재는 국가지정문화재, 시ㆍ도지정문화재로 나뉘어서 그 정의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1. 국가지정문화재: 문화재청장이 제23조부터 제26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지정한 문화재 2. 시ㆍ도지정문화재: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ㆍ도지사”라 한다)가 제70조제1항에 따라 지정한 문화재 이거로만 봐선 확실히 뭔지 모르겠죠? 그럼, 문화재보호법이 국가지정문화재, 시ㆍ도지정문화재 로 지정한 문화재들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국가지정문화재 국가.. 2024. 1. 29.
[정의] 문화재란 무엇일까? 문화재의 정의 세세한 문화재 이야기, 티스토리 블로그에 첫 글을 남기게 되어서 매우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첫 글로써 오늘 해볼 문화재 이야기는 “문화재의 정의”입니다. 문화재를 이야기하려면 문화재에 대한 정의를 확실히 해야 한다 생각이 들어서 첫 글로 정했습니다. ※ 목차 ‧ 문화재의 사전적 정의 ‧ 광의적 문화재 정의 ‧ 문화재보호법에서의 문화재 정의 ※ 문화재의 사전적 정의 문화재는 사전적인 정의로 보는 경우와 광의의 정의, 즉 “보다 더 넓은 개념”인 정의로 보는 경우로 나뉘어집니다. 이번 파트는 사전적인 정의로 보는 문화재의 뜻입니다. 국어사전에서의 문화재는 문화 활동에 의해 창조된 가치가 뛰어난 사물, 혹은 문화재보호법이 보호의 대상으로 정한 유형 문화재, 무형 문화재, 민속 문화재, 천연기념물, 사적, 명승.. 2024. 1. 22.
반응형
LIST